“비복호화 탐지(Non-Decryption Detection)?” — 불가능을 포장한 마케팅
🔐 요지: “복호화 없이 암호화된 트래픽의 내용을 탐지한다”는 주장은 암호를 깼다는 뜻과 사실상 동일하며, 이는 현재의 공개된 암호 기술(AES/TLS)의 안전성 가정과 정면으로 충돌합니다.
실제로 가능한 것은 메타데이터 기반의 간접 추정일 뿐이며, 이 기능은 이미 IPS/NDR 제품들이 오래전부터 제공해 온 범주입니다.
1) 무엇이 문제인가: “비복호화 탐지”의 기술적 모순
-
🧩 암호의 목적은 키가 없으면 내용을 볼 수 없도록 하는 것입니다.
- 만약 누군가 네트워크 상에서 복호화 없이도 트래픽의 내용을 식별·탐지할 수 있다면, 이는 사실상 AES나 TLS가 깨졌다는 주장과 다르지 않습니다.
- 그런 일이 실제로 가능하다면, 인터넷 결제·온라인 뱅킹·VPN 전부가 신뢰 불능 상태가 되어야 합니다. 우리는 그런 붕괴를 목격하지 않았습니다.
-
따라서 “비복호화 탐지”라는 용어가 내용 분석(content inspection) 능력을 시사한다면, 이것은 허위·과장에 해당합니다.
실제로 그들이 할 수 있는 최선은 메타데이터(패킷 길이·간격, 세션 지속시간, TLS 핸드셰이크 지문(JA3/JA3S) 등) 을 보고 정상/이상 패턴을 추정하는 것입니다.
2) 이미 존재하는 것: 메타데이터 기반 NDR/IPS 탐지
-
NDR/IPS/NGFW는 오래 전부터 메타데이터 기반 이상행위 탐지를 지원해왔습니다.
- 예: 비정상적인 연결 빈도, 특정 JA3 지문, 패킷 길이 분포/타이밍 패턴 등.
-
이 방식은 암호를 해독하지 않습니다. 내용은 여전히 불투명하며, 간접적 신호만으로 위험 가능성을 점수화할 뿐입니다.
-
한계:
- 오탐·미탐이 발생하기 쉽고,
- 우회가 비교적 용이하며,
- TLS 1.3, ECH(Encrypted ClientHello), QUIC/HTTP/3 보편화로 관찰 가능한 메타데이터가 더 줄어드는 추세입니다.
결론적으로, “메타데이터 기반 탐지”는 보조적 단서이며, “비복호화 상태에서 내용까지 본다”는 의미의 비복호화 탐지와는 본질적으로 다릅니다.
3) Cisco ETA: 글로벌 벤더도 포기한 길
💡 Cisco는 2018년 ETA(Encrypted Traffic Analytics) 라는 기능을 발표했습니다.
- 아이디어는 TLS 핸드셰이크, 패킷 길이 분포 같은 메타데이터만으로 악성 통신을 식별하자는 것이었습니다.
- 그러나 성능, 오탐 문제, 대규모 트래픽 처리 한계 때문에 결국 독립 제품화에는 실패했습니다.
- 현재는 일부 장비의 부가기능 수준으로만 남아 있습니다.
👉 글로벌 최상위 보안 벤더도 풀지 못한 기술적 난제를, 국내 중소기업이 “세계 두 번째 상용화”라고 주장하는 건 설득력이 떨어집니다.
4) 사례 분석: 최근 소개 자료의 주장과 문제점
📄 해당 소개 자료는 스스로를 “AI 기반 비복호화 암호위협 탐지 솔루션(ETDR)” 이라 부르며 다음을 내세웁니다:
- “전 세계적 2번째 제품화(시스코 이외 상용제품 없음)”
- “탐지율 97% 이상(KISA 성능평가)”
- “3개년 정부 R&D 실증(2022~2024)”
- 데모/설치 이력: N사, S사, K사 등
⚠️ 문제는, “비복호화”라는 표현이 독자에게 암호화된 트래픽의 내용까지 본다는 착각을 일으킨다는 점입니다. 이는 사실상 불가능한 주장이며, 검증되지 않은 수치(탐지율 97%)도 마케팅 지표일 가능성이 큽니다.
🤖 AI와 관련된 오해
- GPT, Gemini, Claude 등 어떤 최신 AI 모델도 AES/TLS 같은 현대 암호를 깨거나 비복호화 탐지를 수행할 수 없습니다.
- 가능하다면 이미 인터넷 결제, 뱅킹, VPN이 모두 붕괴되었어야 합니다.
- AI가 할 수 있는 것은 로그·패턴 분석이나 이상 징후 탐색일 뿐, 암호화 자체를 무력화시키는 것은 아닙니다.
🔓 PassGAN 사례와 비교
- 일부에서는 PassGAN이 암호 해시를 해독했다고 잘못 표현했지만, 실제로는 무차별 대입(브루트포스)을 AI가 더 빠르게 흉내 낸 것에 불과했습니다.
- 마찬가지로, “비복호화 탐지” 역시 암호를 깬 것처럼 과장된 표현일 뿐, 실제로는 메타데이터 기반 추정 이상의 기능이 아닙니다.
👉 따라서 “AI 기반 비복호화 탐지”라는 문구는, AI가 암호를 깨뜨릴 수 있다는 착시를 주는 허위·과장 마케팅이라 볼 수 있습니다.
5) 비유로 이해하기
-
📖 표지만 보고 책 내용을 맞히기
메타데이터 기반 탐지는 책의 표지·두께·페이지 수만 보고 줄거리를 맞히려는 시도와 같습니다.
가끔은 유사성을 찾을 수 있지만, 내용을 읽은 것과는 전혀 다릅니다. -
⚙️ 영구기관(Perpetual Motion) 마케팅
“복호화 없이 내용 탐지”는 마치 물리학에서 영구기관을 발명했다고 주장하는 것과 같습니다.
원리 자체가 모순이므로, 실현 가능성은 없습니다. -
🧪 초전도체 소동에 비유
최근 우리 사회가 “상온 초전도체 발견”이라는 뉴스에 떠들썩했지만, 검증 결과 과학적 근거가 부족했습니다.
이번 사례도 마찬가지로, 과학적 불가능에 가까운 영역을 성과처럼 포장한 것입니다. -
🔮 양자 컴퓨터와의 비교
양자 컴퓨터가 30년 뒤 상용화될지 모르는 미지의 영역이듯, “비복호화 탐지”라는 것도 10년 뒤 혹은 더 먼 미래에나 가능할 수 있는 연구 주제입니다.
지금 상용화된 것처럼 주장하는 건 완전한 기만입니다.
6) 정부 지원에 대한 의문
💸 더 심각한 문제는, 이런 실증 사업에 세금이 투입되었다는 점입니다.
- 과기부·KISA가 지원했다는 건, 마치 정부가 “암호화가 붕괴될 수도 있다”는 전제를 인정한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.
- 이는 기술적 현실을 왜곡하고, 국민 세금을 허무맹랑한 마케팅 실험에 낭비하는 결과로 이어집니다.
- 🙄 정부의 지원 행태는 경멸스러울 정도로 무책임합니다.
🧪 만약 이 주장이 사실이라면?
- 이런 기술은 단순히 상용화 홍보용 브로슈어에 등장할 것이 아니라, SCI(E)급 논문을 넘어 Science, Nature 같은 최고 권위 저널에 게재되어야 합니다.
- 글로벌 수준에서 암호화 체계에 혁신을 가져왔다면, 반드시 국제 특허로 보호받아야 합니다.
- 더 나아가, 이는 현대 암호학의 근간을 뒤흔드는 발견으로 노벨상 수상감에 해당합니다.
❓ 그러나 실제로 그런 기록은 없습니다. 적어도 아직까지 찾지 못했습니다.
- 국제 학계에도, 특허 데이터베이스에도, 주요 컨퍼런스에도, 이 기술을 인정하는 증거가 전혀 보이지 않습니다.
- 그렇다면 정부는 어떤 근거로 혈세를 투자했을까요?
👥 책임 소재 확인 필요
- 투자를 주도한 정부 관계자,
- 이를 사업화한 담당자,
- 심사 과정에 참여한 전문가 패널들의 의견과 검증 근거가 반드시 확인되어야 합니다.
- 단순히 “AI 기반 혁신 기술”이라는 포장에 속아 넘어갔다면, 이는 제도적 실패이자 국민 세금에 대한 배임 수준의 낭비일 수 있습니다.
7) 구매자·투자자를 위한 팩트체크 체크리스트
👉 문구를 그대로 믿지 말고, 반드시 다음 질문에 대한 증빙을 요구하세요:
-
무엇을 보는가?
→ 메타데이터만인지, 실제 내용까지라는 주장인지 -
최신 프로토콜 호환성
→ TLS 1.3, ECH, QUIC/HTTP/3 환경에서도 동작하는가? -
탐지율 수치 검증
→ 정탐율/오탐율/ROC 곡선 등 검증 프로토콜이 무엇인가? -
제3자 검증
→ 고객 PoC, 레드팀, 인증 시험 등 외부 검증 결과가 존재하는가? -
우회 가능성
→ 패딩·지터·JA3 위장·도메인 프런팅 같은 단순한 회피 기법에도 견딜 수 있는가? -
성능/지연/스케일링
→ 10/40/100Gbps 환경에서의 실측 데이터는 어떤가? -
AI 모델 관리
→ 어떤 AI 기반 탐지 모델(머신러닝/딥러닝)을 사용하는지 명확히 공개하고,
→ 주기적 재학습·검증 프로세스를 통해 모델 드리프트(트래픽 패턴 변화)에 대응할 수 있는가? -
논문·특허 기록
→ 국제 학계(SCI, Science, Nature 등)에 이 기술이 실린 기록이 있는가? 없다면 왜 없는가?
→ 글로벌 특허 데이터베이스에 이 기술이 실린 기록이 있는가? 없다면 왜 없는가?
8) 결론
✅ “비복호화 탐지“가 암호화된 트래픽의 내용 분석을 암시한다면, 이는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며 허위·과장 표현입니다.
현대 암호 체계(AES/TLS)는 AI 모델(GPT, Gemini 등)조차 깨뜨릴 수 없으며, 실제로 가능한 것은 이미 IPS/NDR이 제공하는 메타데이터 기반 추정에 불과합니다.
- Cisco조차 ETA 시도로 실패했으며, PassGAN 사례처럼 “암호를 깼다”는 과장은 언제나 오해와 기만으로 이어집니다.
- 만약 이런 주장이 사실이라면, SCI(E) 논문 → Science/Nature 게재 → 국제 특허 등록 → 노벨상까지 이어져야 하지만, 적어도 지금까지 그런 기록은 전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.
📌 따라서:
- 구매자·투자자는 반드시 논문·특허·외부 검증을 포함한 증빙 중심의 검토를 요구해야 합니다.
- 정부와 공공기관은 이런 허구적 전제를 전제로 세금을 지원하는 오류를 되풀이하지 말아야 하며, 투자 주도자·사업화 담당자·심사 전문가들의 책임과 검증 근거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합니다.
🩸 우리는 “손가락 끝에서 채취한 단 몇 방울의 피만으로 200가지가 넘는 질병을 진단"할 수 있다고 주장했던 테라노스의 엘리자베스 홈즈 사건에서 교훈을 얻어야 합니다.
- 당시 그녀는 기술 없이 마케팅 용어로만 포장해 투자자와 고객을 속였고, 결과적으로 대형 사기극으로 드러났습니다.
- 물론 앞으로 기술 발전은 새로운 가능성을 열겠지만, 현재 존재하지 않는 기술을 사실처럼 포장하는 것은 혁신이 아니라 사기입니다.
👉 결론적으로, “비복호화 탐지”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 미래 기술을 과장된 마케팅 언어로 포장한 것에 불과합니다.
이것을 상용화된 혁신인 것처럼 주장하는 행위는 국민과 시장 모두를 기만하는 위험한 선전일 뿐입니다.
📖 Cisco ETA
🤖 PassGAN은 AI 분석이 아니다
📖 IDS/IPS/NDR 한계 이해하기
- NDR의 한계: 해결 불가능한 미션
- IDS/IPS, 정말 코어 보안일까?
- 중소·중견 기업 심지어 대기업에서도 NIPS/NDR, 정말로 필요할까?
- IPS와 NDR 차이와 한계
- WAF vs IPS vs UTM: 웹 공격 최적의 방어 솔루션 선택하기
- IPS의 진화와 보안 환경의 변화
- 침입차단시스템(IPS) 이해하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