아래는 HSS(Home Subscriber Server)를 중심으로 한 통신사 보안 아키텍처와 MITRE ATT&CK for Telco 기반 위협 모델링에 대한 블로그 게시용 전문 콘텐츠입니다. 모든 설명은 실무자 및 기술 담당자를 대상으로 하되, 명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표현을 사용하였습니다.
📡 HSS를 중심으로 한 통신사 보안 아키텍처와 위협 모델링
🧭 개요
이동통신사 보안의 중심에는 HSS(Home Subscriber Server)가 있습니다. HSS는 단순한 인증 서버가 아니라, 모든 가입자 인증, 위치 정보, 서비스 정책을 관리하는 통신망 보안의 심장부입니다. 이 글에서는 HSS를 중심으로 한 보안 아키텍처를 정리하고, MITRE ATT&CK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실질적인 공격 시나리오와 대응 전략을 제안합니다.
🔍 HSS란 무엇인가?
항목 | 내용 |
---|---|
정식 명칭 | Home Subscriber Server |
주요 역할 | 가입자 인증, 위치 관리, 정책 정보 제공 (IMSI, MSISDN, QoS 등) |
연동 대상 | MME/AMF, PCRF/PCF, IMS, HLR, AAA 등 |
프로토콜 | Diameter, LDAP, REST, HTTPS |
구성 위치 | 코어망(Core Network) 내부 |
🛡 HSS 중심 보안 아키텍처
🔸1. 기본 아키텍처 구조
flowchart TD
사용자 --> 인터넷망
인터넷망 --> FW1["[1] FW"]
FW1 --> LB2["[2] LoadBalancer"]
LB2 --> GW3["[3] Web/API Gateway"]
GW3 --> UI4["[4] HSS관리UI"]
UI4 --> CORE5["[5] HSS Core Logic"]
CORE5 --> MME
CORE5 --> PCRF
CORE5 --> IMS
🔸2. 방어 구성 요소
위치 | 구성 요소 | 역할 |
---|---|---|
[1] | 방화벽(FW) | 외부 트래픽 필터링 및 포트 제한 |
[2] | L4 로드밸런서 | 요청 분산 및 기본 보안정책 적용 |
[3] | 웹방화벽(WAF) 또는 API Gateway | 웹 기반 공격(CSRF/XSS/Injection 등) 차단 |
[4] | 접근제어(ACL) | 관리자 IP 제어 및 권한 기반 인증 |
[5] | 감사 및 로깅 시스템 | 변경 기록 및 이상 탐지 기반 대응 |
🎯 MITRE ATT&CK for Telco 기반 위협 모델링
MITRE ATT&CK는 공격자의 전술(Tactic)과 기술(Technique)을 분류한 체계로, 통신사 특화 영역에 **“Telco Vertical”**도 포함되어 있습니다.
💣 주요 위협 시나리오 (HSS 기준)
전술(Tactic) | 기술(Technique) | 실제 위협 |
---|---|---|
Initial Access | Valid Accounts, Exploit Public-Facing App | 웹 UI 또는 API 취약점으로 관리자 계정 탈취 |
Credential Access | Brute Force, Credential Dumping | 관리자 계정에 대한 딕셔너리 공격 |
Discovery | Network Sniffing, System Information Discovery | HSS 네트워크 구조 및 설정 파악 |
Lateral Movement | Internal Spearphishing, Application Layer Protocol | Diameter 트래픽 통해 다른 코어망 요소로 확산 |
Exfiltration | Exfiltration Over Command & Control Channel | 가입자 인증정보(IMSI, 키 등) 외부 유출 |
Impact | Data Manipulation, Denial of Service | 인증 정책 위조 또는 가입자 서비스 마비 |
📌 특히 HSS의 웹 UI/API가 WAF 없이 운영되거나, 포트 제한 없이 노출된 경우 위 공격들이 현실화될 수 있습니다.
✅ 대응 전략 요약
영역 | 대응 방안 |
---|---|
관리 인터페이스 | WAF 적용, 관리자 IP 화이트리스트, 2FA 도입 |
인증 및 접근제어 | 역할 기반 권한관리(RBAC), 최소 권한 원칙 적용 |
로깅 및 감시 | 실시간 감사 로그 분석, 이상 행위 탐지 시스템 연동 |
API 보안 | Rate Limiting, Token 기반 인증, JSON 스키마 검사 등 |
Diameter 보호 | Signaling Firewall 도입, 정규 트래픽 패턴 분석 |
🧩 결론
HSS는 더 이상 단순한 가입자 관리 장비가 아닙니다. 공격자는 HSS를 장악함으로써 수백만 명의 사용자 정보를 확보하고, 통신망 전체를 교란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웹 방화벽, 접근 제어, 실시간 모니터링, MITRE 기반 위협 대응을 모두 갖춘 통합 보안 체계가 필수입니다.
다음은 HSS(Home Subscriber Server)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협을 실질적으로 이해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한 위협 탐지 시나리오 예시 3선입니다. 실제 MITRE ATT&CK for Telco 프레임워크와 보안 실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, **통신사 보안 담당자, SIEM 운영자, 보안 관제 요원(SOC)**에게 유용한 내용입니다.
🛡 HSS 기반 위협 탐지 시나리오 예시 3선
📌 시나리오 1. 관리 웹 인터페이스를 통한 침입 (Initial Access)
● 개요
공격자가 외부에 노출된 HSS 관리용 웹 UI의 취약점을 이용해 관리자 권한을 탈취하고 내부망에 진입하는 시나리오.
● 공격 흐름
- 공격자는 HSS 관리 포트(예:
443
,8443
) 스캔 - 공개 취약점(CVE) 또는 디폴트 계정으로 웹 로그인 시도
- 로그인 성공 후, 웹 UI를 통해 인증 설정 및 로그 정책 조작
- 내부 인증 시스템 교란, 타 가입자 정보 조회 또는 수정
● 탐지 포인트
구분 | 로그 예시 / 탐지 방식 |
---|---|
웹 서버 로그 | /admin/login 에 대해 평소보다 높은 실패율 탐지 (Brute-force 의심) |
시스템 로그 | 관리자 권한 변경, 정책 파일 조작, UI 설정 변경 감지 |
PLURA-XDR | POST /admin/* 요청의 이상한 패턴 탐지, Header 정보 무결성 확인 |
● 대응 방안
- WAF로
/admin
경로 보호 - 관리자 인증에 2FA 적용
- 로그인 시도 횟수 제한 및 알림 연동
📌 시나리오 2. Diameter 프로토콜을 악용한 수직 확산 (Lateral Movement)
● 개요
공격자가 침투 후, HSS의 Diameter 메시지 통신 구조를 분석해 다른 코어망 장비(MME, PCRF 등)로 수평/수직 확산을 시도.
● 공격 흐름
- HSS 내부에서 MME로 향하는 Diameter 트래픽 스니핑
- 인증 벡터 요청 패턴을 위조하여 세션 하이재킹 또는 세션 테이블 중복 생성
- 다른 가입자에 대한 정책이나 인증정보 조작 시도
● 탐지 포인트
구분 | 예시 / 탐지 방식 |
---|---|
네트워크 IDS | CER , DWR 등의 Diameter 요청이 정상 패턴에서 벗어남 |
시스템 로그 | 특정 가입자에 대한 인증 요청이 비정상적 빈도로 반복됨 |
XDR 분석 | IMSI , MSISDN 등 파라미터 변조 패턴 감지 |
● 대응 방안
- Signaling Firewall 도입 (Diameter 전용 보안 솔루션)
- 통신 빈도 기반 이상 탐지
- IMSI 단위 접근 제어 정책 적용
📌 시나리오 3. REST API를 통한 가입자 정보 탈취 (Exfiltration)
● 개요
HSS가 제공하는 RESTful API를 통해 외부에서 IMSI, 가입자 위치, QoS 설정 등의 민감 정보를 조회하거나 탈취하는 공격 시나리오.
● 공격 흐름
- 내부 계정 또는 외부 노출된 API Key 유출
- 반복적 GET 요청으로 다수 가입자 정보 수집
- 외부로 데이터 전송 (예: Cloud 저장소 업로드 또는 외부 API 연동)
● 탐지 포인트
구분 | 로그 예시 / 탐지 방식 |
---|---|
API Gateway 로그 | 평소보다 많은 가입자 정보 요청 (e.g. GET /subscriber/* ) |
시계열 분석 | 특정 시간대에 특정 API 호출이 폭증 |
PLURA-XDR | Response Body 에 포함된 개인정보 필드값 추출 및 이상 감지 |
● 대응 방안
- API 요청 횟수 제한 (Rate Limiting)
- 개인정보 필드 암호화 및 로그 필터링
- IP, API Key 단위 접근 제어 정책 강화
✅ 결론
공통 보안 권고사항 |
---|
1. 웹 인터페이스 및 API 경로는 WAF 및 접근제어로 보호해야 함 |
2. Diameter 프로토콜 통신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전용 방화벽 또는 IDS 필요 |
3. PLURA-XDR 같은 실시간 로그 기반 탐지 시스템과 연계하면 웹/네트워크/시스템 전 계층 위협을 조기에 탐지할 수 있음 |